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왜 친노는 폐족이 되었던 것일까? (친노가 사는길)
    Fun & Feel/세상과 나 2009. 5. 30. 18:09
    오늘 새벽에 올린 「대장블리바..노무현의 소원」을 올리면서 확실하게 든 생각이 있습니다.

    그것은 친노가 살아남아야 할 곳은 영남지역이라는 점입니다. 영남지역에서 친노가 살아남지 못한다면, 고인이된 노무현에게 얼굴을 들지 못한다는 것입니다. 이미 친노세력의 상당수는 폐족이 되어버리거나(낙선/구속/모멸과 무존재감), 베드로와같이 노무현을 부정 해야(정동영의 당선) 했습니다.

    호남이라고 어찌 진보세력만 있을 것이며, 영남이라고 어찌 보수세력만 있겠습니까. 노무현이 꿈꾸던 세상은 호남에서도 한나라당 인사가 당선되는 것이고, 영남에서도 민주당 인사가 당선되는 것입니다.

    아이러니하게도 영남지역이야말로 반골기질이 강했던 곳입니다. 실제 민노당의 터전이 영남이고, 이명박정부를 싫어하는 소위 친박세력도 영남에 근거를 두고 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러한 영남지역이 왜 보수의 본 고장으로 자리매김했는지 의아하게 생각됩니다. 돌이켜 생각해보면, 노무현이야말로 골수 영남인이 아닌가요?

    위에 언급된 어느블로그의 댓글에서 그 해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이전부터 견고하게 지지되었던 영남의 진보세력은 3당합당을 통해 한나라당에 그대로 녹아 있었던 것입니다. 그렇기때문에 그들 스스로가 진보적인 인사와 보수적인 인사를 아우르는 잡탕이 되었던 것이며, 현 체재하에서도 진정한 야당은 민주당이 아니라 친박연대라는 자조가 나오는 것입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우리의 부모를 예를 들면, 자식이 아무리 잘못하더라도 당신은 그 단점이 보이지 않습니다. 그것은 일종의 자연스런 정이라는 것입니다. 친노세력에 대해서는 '영남을 욕하고, 호남에 손을 벌려 집권'했다는 미움이 근저에 있었다는 것을 잊고서는 친노가 영남에 뿌리내리 수 없습니다. 뿌리를 내리지 못하는 상황에서 진보와 보수를 백날 떠들어봐야 소용이 없는 것입니다.

    친노가 사는길

    지금 상황에서는 영남의 교두보를 탈환해서, 영남만을 의지한 국회의원들에게 공포감을 주어야합니다. 그 공포감은 소 선구제 아래서 지역감정을 이용했던 현직의원을 자극할 것이며, 영남이외의 지역에도 근거를 마련하자는 중/대선거구제를 도입하게되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한나라당이 호남에서도 당선되는 날~ 그날은 노무현이 그토록 바랬던 지역감정을 극복하는 축복의 날이 될 것입니다.

    친노세력이 어디에 역량을 집중해야하는지는 명확 해 졌습니다. 친노는 영남에 뿌리를 내려야합니다. 설령 민주당을 욕하고 대드는 한이 있어도, 선명한 진보의 색채를 유지해야합니다. 만약 민주당의 색채가 진보를 이루는데 도움이 안된다면, 진보신당과같은 훌륭한 대안도 있습니다.

    친노가 언제 민주당의 하위세력이었나요? 친노는 친노일뿐입니다.

    여러분들의 건승을 빕니다.




    (참고) 친노세력의 현재는 참으로 참담한 상황입니다.
    정치적으로 철저히 이용되는 검찰의 횡포가, 결국 사람을 죽이기까지 하는군요..


    ‘폐족’ 위기 몰린 ‘친노’…‘정치적 파산 선고’ 전망 나와
    친노라는 정치적 브랜드는 이미 용도폐기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살아남은 친노계 인사들 중 정치권에서 현역으로 활동하는 인사들은 드물다. 민주당의 서갑원 백원우 의원과 안희정 최고위원 정도다. 세 사람도 최근 검풍에 직·간접적으로 시달렸고 현재도 계속 ‘진행형’이다. 현역이던 이광재 의원은 최근 구속됐다. 한 친노계 인사는 9일 “현역 의원들이 워낙 시달려 18대 총선에서 낙선한 친노계 인사들은 ‘떨어진 게 오히려 다행’이라는 푸념까지 하고 있다”고 말했다.

    대선 주자급 인사들도 ‘야인 생활’이 길어지고 있다. 이해찬 전 총리는 연구소 개념의 재단법인 ‘광장’을 세웠지만, 사실상 정치 활동을 중단한 상태다. 역시 여의도 정치에서 한발 물러서 있는 한명숙 전 총리는 한때 민주당의 인천 부평을 재·보궐선거 후보로 거론됐으나 본인이 고사해 성사되지 않았다. 유시민 전 보건복지부 장관은 저술활동과 대학 강의 등을 통해 꾸준히 목소리를 내왔으나 최근 참여정부와 관련된 외부 강연을 중단하겠다고 선언했다.

    이 전 총리와 가까운 한 인사는 “이 전 총리, 한 전 총리를 비롯해 친노계 원로급 인사들은 거의 대부분 내사를 받아온 것으로 안다”며 “검찰이 워낙 쑤시고 다니는 마당에 누가 대놓고 활동할 수 있겠느냐”고 말했다.

    청 와대 출신들도 바짝 엎드려 있다. 이병완 전 청와대 비서실장은 퇴임 후 ‘참여정치포럼’을 만들었으나 지금은 사무실 문을 닫았다. 이정우 성경륭 김병준 전 정책실장과 조기숙 전 홍보수석 등은 학교로 돌아간 뒤 정치적 목소리는 일절 자제하고 있다. 이호철 전 민정수석, 윤태영 전 청와대 대변인, 양정철 전 청와대 홍보기획비서관 등은 봉하마을 일에 관여하고 있다. 천호선 전 대변인은 안희정 최고위원이 여의도에 설립한 연구소 ‘더 좋은 민주주의 연구소’에서 일하고 있다.

    이들중 일부는 이번 파문 전까지 내년 지방선거 출마를 위해 ‘청정회’(청와대 출신 정치인 모임) ‘참정회’(참여정부 출신 관료 모임) 등의 모임을 가져왔으나, 친노계 내부에서는 “지자체 진출은 물건너 간게 아니냐”는 시각이 많다.






Designed by Tistory.